전국의 항만안전사고가 최근 수년 동안 매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해수부)에서 대책을 마련해 발표해도 개선될 모습이 보이지 않아 대책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회 국정감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안병길 의원(부산 서·동구, 국민의힘)이 해수부로부터 받은 ‘최근 3년간 항만시설·건설 현장사고 추이’ 자료를 7일 발표하고 예방책 강화 방안을 촉구했다.
앞서 지난 7월 해수부에서는 ‘항만사업장 특별 안전대책’을 발표했으나 불과 한 달도 되지 않아 국제여객선 뉴골든브릿지 7호 소속 선원이 컨테이너에 깔리며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8월 9일 인천항국제여객터미널에 정박 중인 뉴골든브릿지 7호에서 컨테이너 하차 작업을 하던 선원이 추락한 컨테이너에 깔린 것이다.
안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년간 항만시설과 건설 현장사고는 매년 30여건이 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 사고로 인해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항만시설·건설 현장뿐 아니라 하역현장에서도 수백명의 인력이 사고를 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재해자 수는 총 278명으로 지난 2017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안 의원은 2년 전 발표한 ‘항만물류 안전사고 예방 종합대책’과 지난 7월 발표한 특별 안전대책을 검토한 결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었다고 지적했다. 특히 ‘산업안전보건규칙’ 가운데 ‘항만하역작업 안전기준’은 지난 1990년 제정 이후 30년 넘게 단 한 번도 개정되지 않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안병길 의원은 “정부의 정책발표는 일반 기업의 광고가 아닌 국민과의 약속이다. 지금까지 제시됐던 항만 분야 안전사고 대책이 실효성이 없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무엇보다 이는 항만 근무자의 생명과 직결된 문제다. 말뿐인 대책이 아닌 대한민국 항만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항만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