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9.23 11:36:31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박형준 부산시장의 공약인 ‘15분 도시’ 정책의 실현을 위해선 문화서비스 거리 격차 완화와 같은 문화권 보장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BDI)은 23일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15분 도시 부산, 시민 문화권 보장이 핵심’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도시가 추진하는 ‘15분 도시’의 핵심은 문화시설 등 기초 생활시설의 근거리성 강화와 서비스 거리 단축을 통한 시민 삶의 질 향상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근거해 부산도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직결하는 문화권 보장을 위해 문화서비스 거리 격차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부산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부산시의 문화시설 서비스 거리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 공연장, 박물관과 같은 광역단위 거점 문화시설 대다수는 차량으로 15분 이내, 마을 단위의 작은도서관은 도보로 15분 이내 접근이 가능하나 구·군별 격차가 있었다.
특히 강서구, 기장군은 차량으로 15분 이내의 거점 문화시설을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었다. 또 생활문화센터는 부산 중구와 동구를 제외하면 걸어서 15분 이상 걸리는 곳이 대다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민경 연구위원은 “문화시설의 시공간적 접근성, 거주·업무시설과의 근거리성을 높이는 것은 ‘15분 도시’ 정책에서 매우 중요하다. 인구당 평균 문화시설 수를 기준으로 삼던 예전 방식에서 벗어나 차량이나 도보 이동성을 고려하는 서비스 거리를 활용한 생활권 중심 문화시설 확충이 중요하다”며 “이에 부산시에서 ‘문화서비스 거리 최적 기준’ 마련과 ‘실행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문화서비스 거리 산출 시, 생활권 단위의 촘촘한 접근과 부산 지형, 도로, 교통체계 등의 반영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