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9.15 19:42:46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부산지역 고용의 질적 수준 저하가 전국 평균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수준은 하락하는 반면 상용직 비중은 줄고 임시직의 비중이 늘어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연구원 산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위와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부산고용 질적 변화’ 분석 보고서를 15일 발표했다.
먼저 임금 수준을 보면 지난해 상반기 부산지역은 3개월 평균 임금이 전년동기 대비 2000원 수준의 미세한 하락을 보였으나 지난해 하반기에는 4만 7000원이 하락하며 감소폭이 확대됐다.
부산의 임금 수준 하락은 근무시간 단축과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임시직의 비중이 증가한 것이 주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부산연구원은 분석했다. 근무시간을 보면 지난해 상반기 근무시간은 전년동기 대비 8.2% 감소한 평균 37.9시간을 기록했으며 하반기에는 3.0% 감소한 39.3시간을 기록하며 전국 평균에 비해 감소율이 컸다.
이는 코로나19 쇼크로 인해 경영 상황이 단기적으로 악화함에 따라 지역 기업이 위기 극복을 위해 초과 근무 단축, 무급 일시휴직 등 근무시간 단축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나아가 부산은 지난해 일시 휴직자가 전년대비 3만 3000명으로 133.2% 늘어났으며 상용직 초과근무 시간이 전년대비 16.7% 감소하며 초과근무 수당도 10.0% 감소했다.
특히 부산지역 내 상용직 비중은 줄고 임시직 비중이 늘어난 것도 임금 수준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하반기 부산지역 임금 근무자 가운데 상용직 비중은 68.2%로 전년반기 대비 1.6%p 하락한 반면, 임시직은 23.8%로 1.6%p 상승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상엽 경제동향분석위원은 “부산은 이미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30~40대 핵심 생산 연령층과 고학력 청년층의 타지 유출,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인한 지역경제 성장 잠재력 저하 문제에 직면한 상황이다. 여기에 고용의 질적 저하와 전국 평균과의 격차 확대는 이러한 문제점을 더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산업구조 고도화 및 지-산-학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제조업 생산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높여 고부가가치를 달성하기 위해선 자동차 부품과 조선기자재 산업 등 지역 주력 제조업의 사업 다각화와 수출 지원책 강화가 필요하다. 또 지역 고학력 청년층의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지-산-학 연계 시스템’이 중요해 기업에는 각종 지원사업에 가점을 주고 대학에는 직업교육 훈련사업 등에 우선권을 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