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8.25 11:45:07
부산경제살리기시민연대가 25일 성명서를 내고 정부에 ‘부산 항공 MRO 거점 육성계획’에 대한 이행을 촉구하고 나섰다.
앞서 지난 12일 정부는 항공정비(MRO) 산업의 해외 의존도를 지난해의 65% 수준으로 낮추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연간 5조원 규모로 국내 MRO를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제는 정부에서 지난 ‘제2차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 ‘2차 항공정책기본계획’에 포함했었던 부산을 핵심거점으로 하는 MRO 육성계획을 3차 계획에서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시민연대는 성명을 통해 “정부의 계획대로라면 부산은 정부 MRO 육성사업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항공 MRO 산업은 노동집약적인 동시에 첨단산업이어서 고용창출에 효과적이므로 동남권 신공항과 함께 부산이 반드시 유치해야 할 산업이다”라며 “정부는 행정의 연속성과 지역 간 갈등 방지를 위해서라도 부산을 핵심거점으로 어떻게 특화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서둘러 발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아울러 이들은 항공 MRO 거점 육성에 대해 부산시가 소극적인 태도로 계획 수립에 진전이 없음을 지적했다. 이들은 “시는 지난 2012년 ‘항공우주비전 2020’을 발표하고 지난해에는 김해공항 부근에 MRO 단지 조성, 올해는 통합 LCC 본사 유치 등을 공언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제대로 된 계획조차 내놓지 못하는 상황을 지켜보는 시민들은 시의 안이함에 실망을 느끼고 있다”며 “시가 MRO 산업을 선점하고도 헛발질하고 있는 사이에 경쟁도시인 인천과 사천은 잰걸음으로 격차를 벌이고 있다. 사천은 경남 소재 7개 대학 MRO 관련 학과 육성과 300여개사 항공부품제조업체 등을 유치했으며 인천은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에 MRO 단지를 포함하는 등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경각심을 가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외에도 시민연대는 부산 지역구 정치권에서도 MRO 육성에 대해 무관심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여야 할 것 없이 정치 이슈인 ‘동남권 신공항’만 외쳤지 정작 중요한 MRO 산업 육성과 지역항공사 경쟁력 강화에는 누구 하나 관심을 둔 적이 없다”며 “지금이라도 국회 국토위, 산업위 등 관련 상임위에서는 중앙정부에 따져 묻고 부산을 MRO 핵심거점으로 하겠다는 답변을 받아내야 한다. 이와 함께 가덕신공항 건설과 지역항공사를 존치시키고 MRO 단지를 신규 유치해 항공클러스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철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