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8.19 15:00:55
부산시가 파워반도체 산업의 인프라 구축과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산-학’ 연계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하기로 방향을 결정했다.
부산시는 19일 오후 2시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일 오전 개최한 ‘1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파워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위와 같은 정책 방향을 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 파워반도체 산업의 ‘밸류체인’ 조성을 통한 기업 집적화를 위해 ▲파워반도체 인프라 구축 ▲산업 생태계 조성 ▲지-산-학 연계 전문인력 양성 ▲기업 집적화 클러스터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먼저 시는 ‘파워반도체 인프라 구축’을 위해 기장군 장안읍 내 4667㎡ 규모의 부지에 SiC 파워반도체 상용화 센터를 건립해 파워반도체의 연구·제조 장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를 기존 부산대에 위치한 상용화센터와 연계해 기업의 파워반도체 개발을 지원하고 내년까지 신뢰성 장비도 완비해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양산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산업 생태계 조성’ 방침으로 ▲소재 ▲소자 ▲조립(패키지) ▲검증(신뢰성 평가) 4대 핵심 분야를 육성해 선순환구조를 구축, 부산 내 기업 집적화 등 밸류체인을 조성한다는 방향이다. 소재 분야는 선도대학 협업을 통해 국산화 R&D를 추진하며 소자 분야는 부산시 상용화센터에서 위탁생산을 지원하며 조립 분야는 지난해 유치한 제엠제코와 협업해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아울러 ‘지-산-학 연계 전문가 양성’ 방향으로 반도체산업협회와 부산대, 경남정보대 등 지역대학과 협력해 파워반도체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기업-대학 간 맞춤형 교육을 운영한다. 또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를 중심으로 ‘지-산-학 공동 전문인력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기업 집적화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구체적으로 ▲공장 인·허가 시 ‘원스톱 체계’ 구축 등 규제개선 ▲공장 설립 시 임대료 감면, 대출 지원 등 금융지원 ▲대중교통체계 개선, 문화시설 확충 등 정주 여건 마련 ▲파워반도체 생산시설 ‘Open Lab’과 공유 오피스 운영 등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