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한국무역협회 “2020년 한국 바이오의약품 수출 139.1% 증가, 세계 7위”

  •  

cnbnews 손정호기자 |  2021.07.27 10:01:25

사진=한국무역협회

코로나19 이후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필수 의약품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가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기회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7일 발표한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의 확산 속에서도 2020년 우리나라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전년 대비 139.1% 증가한 51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 순위는 9위에서 7위로 두 계단 상승했다. 코로나19 이후 수출경쟁력 지표가 크게 개선되면서 미국, EU, 중국, 일본 등 경쟁국들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협회 측은 미국 백악관이 지난 6월 발표한 공급망 분석 결과에 따르면 미국의 원료의약품 제조시설 중 73%가 해외에 위치하고 있어 필수 의약품 공급망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고 리스크에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필수의약품의 자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재고를 확보하며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공급망 재편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움직임은 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제조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그 이유로는 최근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중심이 합성의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 이동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 분야의 개척자로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수출경쟁력 측면에서도 미국, 중국, 일본 등 경쟁국보다 바이오의약품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김경훈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세계 2위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고 글로벌 기업들과 백신·치료제 위탁생산 계약을 다수 체결하는 등 세계적 수준의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기회 삼아 우리나라가 첨단 의약품의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추진하고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신약 개발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정부 규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