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는 ‘국민들이 고속도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미납통행료 납부방법 등의 고속도로 서비스를 개선하게 됐다고 16일 밝혔다.
개선 전에는 통행료 미납 시 고지서를 우편으로 받아 영업소 또는 은행에서 납부해 번거롭고 불편한 점이 많았다.
개선 후에는 카카오톡, 네이버앱 등 모바일을 통해 미납통행료를 확인하고 납부방법을 ARS 및 가상계좌, 편의점(GS25), 내비게이션 앱(T map), 셀프 주유소(EX-OIL) 등으로 다양화해 국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한국도로공사는 올해 7월 중으로 CU편의점까지 납부채널을 확대할 계획이며, 9월부터는 QR코드 또는 URL주소를 활용해 회원가입 없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택시 전용 하이패스 단말기’를 개발해 택시요금과 통행료를 카드로 일괄 결제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통행료를 현금으로 요구하는 운전자와 승객 간의 요금시비를 해결했고, 이로 인해 일반차량에 비해 낮은 택시의 하이패스 이용률도 약 3배 증가했다.
이 밖에 전국 32개 영업소에 운영 중인 다차로 하이패스를 올해 연말까지 34개소를 추가로 구축해 총 66개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다차로 하이패스는 일반 하이패스 차로보다 폭이 넓어지고 시설물이 줄어들어 운전자가 영업소를 빠르고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김진숙 사장은 고속도로 관련 국민생활 서비스 개선사항을 진선미 국토교통위원장에게 보고했으며, 위원장은 앞으로도 국민이 불편함을 느끼는 공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