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2030 초선의원들이 4·7 재보선 참패와 관련한 ‘반성문’을 발표한데 이어 재선의원들도 모임을 갖고 “오만하고 위선적이며 무능하다는 지적에 책임을 통감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재선의원 총 49명 가운데 조응천 의원을 비롯해 40여명은 12일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약 3시간에 걸쳐 4·7 재보선 참패 원인을 성찰하고 당 쇄신 방안을 논의했다.
이들은 입장문을 통해 “불과 총선 1년 만에 정부와 여당은 오만하고 위선적이며 무능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책임을 통감한다. 깊이 반성하고 성찰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2030을 비롯한 초선 의원들의 반성 메시지에 적극 공감하며 함께 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우리와 다른 생각을 가진 보수논객은 물론 교수, 전문가, 2030청년들의 의견을 듣는 시간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국민만 바라보며 정책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겠다. (잘못된 정책이라면) 실패를 인정하는 과감한 정책기조 전환도 불사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회의가 비공개로 열렸던 만큼 다소 민감한 주제도 화두에 올랐다.
이날 모임에 참석한 수도권 재선의원은 13일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쇄신에 걸맞게 지도부 선거에 새로운 얼굴이 등장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몇몇 초선의원들이 선거 참패 원인으로 지목했던 ‘당헌 개정을 통한 후보 공천’이나 ‘조국 사태 및 검찰개혁’ 등과 관련한 발언도 이어졌지만 치고받는 식의 논쟁 수준은 아니었다”면서 "그렇지만 ‘강성 지지층이 당심을 쥐락펴락하는 것은 성찰해야 한다’, ‘강성 지지층 요구에 당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했다’ 등의 발언은 나왔다"고 전했다.
다른 한 재선 의원은 “20대 청년들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 점, 성인지 감수성이 부족했던 점 등 국민과의 공감이 부족했던 당의 모습에 깊은 반성과 책임감을 느낀다”고 자성하면서 “위선 조장 정책과 기조가 있지는 않았는지 꼼꼼히 돌아보고, 우리 안의 온정주의와 단호히 결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향후 모임 정례화 여부에 대해 “정례화보다는 계속 논의해나가자는 식으로 정리됐다”며 “초선과 다선 간 소통이 부실했던 측면이 있으니 앞으로 그런 역할을 잘하자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CNB=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