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이낙연, '신복지제도'로 이재명 기본소득 견제

‘국민생활기준 2030’ 특위 출범…수원서 민생연석회의 주재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1.02.18 10:26:11

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17일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열린 현장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차기 대권 경쟁자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주장하는 기본소득 정책에 맞서 소득·돌봄·의료 등 삶의 전 영역을 총괄하는 신복지제도를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일단 시동은  이 대표의 신복지제도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김연명 전 청와대 사회수석이 걸었다. 

 

박 사무총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국회 연구단체 혁신적포용국가미래비전은 17일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복지 비전’을 주제로 김 전 수석의 초청 강연을 열었다.

김 전 수석은 이날 강연에서 “대전환의 시대에 시민들의 기본적인 삶의 보장은 소득 보장을 넘어 주거, 돌봄, 의료, 문화, 환경, 교육 등 삶의 재생산에 필요한 전 영역을 포괄해야 한다”면서 “기본소득의 문제의식은 전향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으나, 기본소득이 삶의 불안정을 해소하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점도 명확하다”고 기본소득의 한계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전 수석은 “국민의 기초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해선 ‘보편적 사회보호’ 체계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세계 10위권의 경제 규모인 한국 사회가 21세기 사회에 맞는 새로운 기준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이 대표가 신복지제도의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한 국민생활기준 2030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후보 시절 복지 공약을 주도하고 포용국가 비전을 구체화한 김 전 수석은 이 대표의 신복지제도 설계에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친문계 의원들이 주도하는 민주주의 4.0 연구원도 지난 3일 국민생활기준 2030 세미나를 여는 등 당내에서 신복지제도를 구체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에 이 대표 측 한 핵심인사는 18일 오전 CNB뉴스와의 통화에서 “보편적 사회보호란 선별주의와 보편주의를 융통성 있게 적용해 포괄적 사회안전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며 “신복지비전은 삶의 전 영역에 걸친 국가적 비전으로 구체화할수록 많은 의원들이 동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민주당은 오는 19일 김 전 수석과 홍익표 정책위의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국민생활기준 2030 범국민특별위원회’를 출범시켜 토론회 등을 통해 소득·의료·돌봄·노동·교육·문화·환경 등 분야별 국민생활기준을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 대표는 18일 이 지사의 홈그라운드인 수원에서 경기도당 민생연석회의를 주재했다. 

(CNB=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