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해수부, 부산시 해양공간 ‘8개 용도구역’ 지정… 공간관리계획 발표

‘해양공간계획법’ 시행 이후 첫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1.29 16:43:08

부산권역 해양공간관리계획도. 총 8개 용도구역으로 나눠 지정됐다. (사진=부산시 제공)

해양수산부와 부산시가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해양공간계획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부산과 인근 배타적경제수역에 대한 ‘해양공간관리계획’을 수립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그동안 해양공간의 경우 선점식으로 이용, 개발하며 이용 주체 간 갈등 및 공간 난개발 우려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해왔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해양공간계획법’을 시행해 해양공간 통합관리 기반 마련에 나서고 있다.

해양공간관리계획은 해당 법 제7조에 따라 권역별로 수립하는 것으로 ▲해역관리정책 방향 ▲해양공간 특성과 현황 ▲해양공간 보전과 이용, 개발 수요 ▲해양용도구역 지정, 관리 사항 등을 포함한다.

이번 공간관리계획의 수립 범위는 영해 2361.54㎢, 배타적경제수역 3164.90㎢로 총 5526.44㎢다. 일부 해양공간은 울산시, 경남도의 해양공간 범위와 겹친다.

먼저 영해의 경우 군사활동구역이 40.53%로 가장 비중이 높고 어업 활동 보호구역 29.71%, 항만·항행구역 17.36%, 안전관리구역 10.52% 순으로 각 구역이 지정됐다.

배타적경제수역은 어업 활동 보호구역이 40.73%로 비중이 가장 크며 이어 군사활동구역 18.16%, 항만·항행구역 1.07%에 대해서만 용도가 지정됐다. 나머지 43.51%의 해역에 대해서는 미지정으로 남겨뒀다.

 

(표=부산시 제공)

원칙적으로는 한 해양공간에 하나의 해양용도구역을 설정할 수 있지만 활동의 배타성이 약한 연구·교육보전구역, 군사활동구역, 안전관리구역은 다른 구역과 중첩해 지정할 수 있게 설정했다.

이와 함께 특정 활동의 밀도가 높지 않거나 관련 정보가 부족해 용도구역을 특정하기 어려운 공간은 용도구역을 지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해양용도구역이 지정돼도 다른 활동이 금지되거나 별도 규제가 부과되는 것은 아니다. 그 가운데 어업 활동 보호구역 지정 공간에서는 어업 활동을 최대한 보장하는 방향으로 관리하되 어업 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행위는 얼마든지 가능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또 해양공간 이용 여건이 바뀌어 해양용도구역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누구나 변경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양공간관리계획의 관리 주체가 필요하다 인정할 경우에도 바뀔 수 있다.

 

부산시 박진석 해양수산물류국장은 “해양수도 부산에서 가장 먼저 해양공간관리계획이 수립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부산의 해양공간이 해양산업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해수부는 부산권역 해양공간관리계획 외에도 경남도, 경기도, 인천시, 전남도, 제주도, 울산시와 협의해 해양공간관리계획을 구상하고 있다. 내년까지는 국내 전 해역에 대한 해양공간관리계획 수립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부산권역 해양공간관리계획 지정 범위도 (사진=부산시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