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항만공사(이하 UPA)는 2019년 울산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총 20,230만 톤이며, 12월 월별 처리 물동량은 1,858만톤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 0.27%(57만 톤) 감소, 월간 기준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상승한 수치다.
지난해 액체화물은 16,410만 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250만 톤) 감소했으며 전체 물동량 중 액체화물 비중 81.1%다. 석유정제품은 5,737만 톤을 처리해 전년(5,181만 톤) 대비 10.7% 증가(556만 톤)했고 화학공업생산품은 3,201만 톤을 처리해 전년(3,491만 톤) 대비 8.3% 감소(290만 톤)했다. 석유정제품 수출물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유 및 화학공업생산품 수출입 감소로 액체화물 물동량은 소폭 감소했다.
또 일반화물은 3,820만 톤을 처리해 전년 대비 5.3%(193만 톤) 증가했다. 차량 및 그 부품은 1,418만 톤을 처리해 전년(1,211만 톤) 대비 17.1% 증가(207만 톤)했고, 합성수지는 421만 톤을 처리해 전년(375만 톤) 대비 12.3% 증가(46만 톤)했다. 시멘트는 134만 톤을 처리해 전년(160만 톤) 대비 16.3% 감소(26만 톤)했으며 기계류 및 그 부품은 61만 톤을 처리해 전년(82만 톤) 대비 25.9% 감소(21만 톤)했다. 국내·외 경기 둔화에 따른 시멘트, 기계류 및 그 부품 등 일부품목이 감소했으나, 현대자동차 북미시장 수출량 및 6부두 자동차 환적 물동량 큰 폭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일반화물 물동량은 증가했다.
한편 총 517,245TEU를 처리해 전년(489,745TEU) 대비 5.6%(27,500TEU) 증가했으며 적 컨테이너 310,089TEU를 처리해 전년(289,769TEU) 대비 7%(20,320TEU) 증가했다. 공 컨테이너는 207,156TEU를 처리하여 전년(199,976TEU) 대비 8.9%(7,180TEU) 감소했다. 수출증가와 동반해 공컨 수급 활성화, 신규선사 유치 등을 통해 컨테이너 물동량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UPA 관계자는 “액체화물은 상반기 정유사 정기보수 및 하반기 유가 급락에 따른 정제 마진율 하락에 따라 소폭 감소했다”라며 “글로벌 경기 둔화, 미·중 무역분쟁 등 대내외 환경여건으로 전년 대비 총 물동량이 소폭 감소했으나, 울산항 6부두 자동차 환적 사업의 활성화를 통해 일반화물 물동량 상승세를 보이며, 신규 컨테이너 화주 유치 노력으로 컨테이너 물동량 최대 실적을 경신하는 등 3년 연속 물동량 2억톤을 달성했다”라고 평가했다.
UPA는 올해 물동량 목표치를 2억 500만톤으로 설정하고, 다각적인 물동량 증대 마케팅 추진 및 규제개선활동 등을 통해 화물 유치에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