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기자수첩]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

  •  

cnbnews 선명규기자 |  2018.10.25 09:29:17

▲임민욱 작가의 '만일의 약속' (사진=선명규 기자)

올 가을 미술계를 관통하는 열쇳말은 분단과 경계다. 9월 개막해 진행 중인 부산비엔날레와 광주비엔날레의 주제는 각각 ‘비록 떨어져 있어도(Divided We Stand)’와 '상상된 경계들‘(Imagined Borders)’. 이념의 대립이나 물리적 분단으로 인한 환멸, 소외와 그리움 등 갈라진 틈에서 나오는 복잡한 감정들을 노래한다. 경계 넘어 있던 북한의 미술 작품도 이번 비엔날레를 찾았다. 남북 해빙 무드가 가속화되는 지금 보면 더욱 흥미롭게 읽히는 작품이 많다.

지난달 부산비엔날레를 취재하면서 특히 두 작품 앞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하나는 천민정 작가의 ‘초코파이 함께 먹어요’. 북한에서 밀거래 될 정도로 인기 높은 한국 제과제품 초코파이 10만개를 활용한 작품이다. 직접 가보지 않았어도 SNS를 통해 한번쯤은 봤을 것이다. 초코파이가 둥글고 널따랗게 펼쳐져 있는 사진을. 그 앞에서 두 시간을 머물렀다. 작품을 관찰하고, 사람들을 지켜보고, 그들의 행동을 기록했다. 보고, 먹고, 지정된 장소에 봉지를 버리는 과정이 이 작품의 관람절차이기 때문이다. 전시장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도 이 퍼포먼스를 그대로 따라했었다. 함께 먹어서 완성된다는 작품 의도 앞에서 모두가 동일한 행동을 했다. 작품 속 초코파이는 ‘화합’의 매개체다. 남북한에서 어떤 경로로든 유통되는 초코파이에게는 경계가 없다는 상징성이 있기 때문이다.

서울로 돌아오는 기차 시간이 임박해 초조한 그때, 또 다른 작품이 자꾸만 발길을 멈춰 세웠다. 낡은 브라운관 TV에서 흘러나오는 가족을 찾는 외침과 애타면서도 지친 눈망울이 발과 눈을 꽁꽁 묶어두었다. 1983년 전파를 탄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장면. 영상이 전부가 아니었다. 가족의 신상을 있는 대로 적어놓은 설치작품 앞에서는, 전해지는 절박함에 오도카니 서서 다 읽을 수밖에 없었다. 그(마네킹)는 자신의 옷에도, 어깨에 멘 광고판에도 정보를 새겨 가족을 찾고 있었다. 지역과 이름은 물론, 서로만이 알아 볼 수 있는 ‘까마귀’, ‘우물’, ‘감나무’, ‘깨묵공장’ 같은 신호도 적혀 있었다. 가족들만이 기억할 최대한의 텍스트다. 그 위에는 ‘누가 이 사람을 모르시나요?’라고 꼬불꼬불하게 적혀 있었다. 떨어져 있는 이를 향한 그리움이 한 자 한 자 짓눌려 있었다.

두 작품을 보고 든 두 가지 생각. 과자도 자유롭게 넘나드는 경계가 이산가족 앞에서는 왜 이리도 굳건한가. 오래된 이 장벽의 균열은 어디서부터 이뤄내야 할까. 그래도 희망은 있는 법. 그 시도를 기대할만한 발언이 최근 나와 귀를 쫑긋 세웠다.

21일 이북도민 체육대회 개회식에 참석한 이낙연 국무총리는 약속했다. 핵심은 이산가족을 위한 상설면회소의 조속한 복구, 가족과 연락할 수 있는 화상 상봉이나 영상편지 등의 방법을 북측과 충분히 논의하겠다는 것이다. "하루라도 빨리 고향 땅을 밟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오래 기다리시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도 덧붙였다. 균열의 시작일지 사뭇 기대되는 말이다.

주지하다시피 약속의 완성은 이행이다. 아무리 단단한 약조도 실행이 없으면 한낱 공수표다. 앞서 언급한, 가족을 애타게 찾던 두 번째 작품의 제목은 ‘만일의 약속’이다. 기다림이 너무나 오래됐다.

(CNB=선명규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