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를 비롯한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엘시티 수사를 지시하며 대대적 반격에 나섰다는 판단에 따라 17일 오후 회담을 갖고 박 대통령 퇴진을 위한 공조 전선 재구축에 나섰다.(자료사진=연합뉴스)
물론 야3당대표들은 추 대표의 영수회담 추진 파동으로 불거진 균열의 후유증을 수습, 다시금 대여 단일대오를 정비하겠다는 것이지만 박 비대위원장이 야당 대표들이 함께 참석하는 방식으로 영수회담 카드를 다시 꺼내는 등 구체적 대응 방향을 놓고 온도차도 여전해 진통도 예상된다.
이들 야3당 대표는 지난 9일 만나 박 대통령의 ‘국회 추천 총리’ 제안에 대한 거부 입장을 정하며 12일 장외집회에 참석하기로 결정한 이후 8일 만인 이날 오후 본회의 직후 국회 사랑재에서 회동을 통해 영수회담 파동 이후의 앙금을 씻으려는 듯 이날 야권 공조 원칙을 재확인하며 수습에 나섰다.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정책조정회의에서 “약간 삐걱거렸던 야권 공조가 오늘부터 정상화 된다”며 “이번 주를 지난 시점에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가 제안한 야3당 합동의총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밝혀 지난 15일 노 원내대표가 우 원내대표 등 일부 야당 인사들에게 전화를 걸어 합동 의총을 포함한 공동행동 방안을 제안한 것에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특히 추 대표의 단독 영수회담 추진을 강하게 비판했던 박 비대위원장도 이날 비대위, 당 토론회 인사말에서 “지난 2∼3일 사이 야권 공조에 대해 국민에게 심려를 끼쳐드린 것을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국민이 염려하는 대로 80년도 서울의 봄, 87년 직선제 개헌 후 야권이 분열해 군정을 종식시키지 못한 경험을 절대 되풀이해선 안된다”고 야권 단합을 강조했으나 향후 구체적 로드맵을 놓고 야당간 간극이 쉽사리 해소될지는 불투명해 보인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토론회와 당무위 인사말, 기자들과의 일문일답 등에서 “지금 가장 필요한 건 총리의 선임으로, 야3당 대표들과 만나 영수회담을 다시 제안하도록 하겠다”고 영수회담 제안 방침을 밝혔다.
그러면서 박 비대위원장은 “‘어떻게 범죄 혐의자와 만나느냐’고 하지만, 어찌됐든 실존적 대통령은 대통령이다”며 “반드시 4자회동(대통령+야3당 대표)을 통해 총리 선임→인적 청산에 가까운 개각→검찰수사, 국조, 특검으로 이어지면 그때가서 국민의 여론을 등에 업고 하야를 촉구하든 탄핵을 하든 절차를 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기존에 ‘탈당’ 등을 선결요건으로 제안했던데 대해서는 “국민은 퇴진하라는데 청와대의 반격이 시작됐고 대통령이 정상적 업무를 막 하고 있어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설명했으며, 탄핵 문제와 관련, “지금 탄핵으로 가면 황교안 총리가 그대로 있어서 안된다. 이러한 혼란을 막는 것은 거국중립내각 총리의 선임부터 시작되는 만큼 그 해법을 영수회담을 통해 마련하자는 것이며 탄핵 가결을 위해 약 40표의 새누리당 표를 확보해야 하는데, 물밑에서 잘 조율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추 대표의 이미 단독 영수회담 추진 백지화로 상처를 입은 민주당으로선 추 대표가 단독 회담 무산 이튿날인 지난 15일 기자들과 만나 “지금 영수회담을 다시 꺼내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언급한 바 있어 영수회담 재추진에 부정적일 가능성이 적지 않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우 원내대표가 이날 언급한 야3당 합동 의총에 대해 박 비대위원장은 “아직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유보적 답변을 내놨으며, 민주당이 최근 제안한 ‘야권 및 시민사회와 함께 하는 비상시국회의’ 구성에 대해서도 박 비대위원장이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바 있어 논의가 순탄하게 진행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