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의 단독 영수회담을 청와대와 합의했다가 당의 강력한 반발에 부닥쳐 취소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부터라도 야 3당과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으기 위한 비상시국기구 구성을 위해 구체적 노력에 들어가겠다”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추 대표는 “야권과 시민사회가 국민의 뜻을 받들어 대통령을 조속히 퇴진시키고 조속한 국정 정상화와 국민이 원하는 민주정부 이행을 위해 힘을 합쳐 퇴진운동에 박차를 가하도록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히면서 청와대 단독회담 취소에 대해 “제 뜻과 다르게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 혼란을 드렸다면 죄송하다. 두 야당에도 깊은 이해를 구한다”고 사과했다.
이어 추 대표는 “이번 담판은 여당의 기능이 사실상 마비된 상태에서 대통령이 민심을 여전히 직시하지 못하고 오판할 경우, 국민과 국가의 고통이 심각한 재앙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한 제1야당대표로서의 책임감 때문이었다”며 “여전히 대통령에게 가감 없는 생생한 상황전달이 안 되고 있다는 깊은 우려 때문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추 대표는 “누차 밝혔듯이 저는 대통령의 하야만이 문제를 해결하는 조속한 해법이라 믿으며 그간 민주당이 그 결론에 국민과 함께하도록 노력해왔다”며 “이번 담판은 어떤 정치적 절충도 있을 수 없으며 최후통첩이자 최종담판의 성격이었지만 본의 아닌 오해와 우려를 낳을 수 있다는 의견을 깊이 받아들여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추 대표는 전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에게 자신과의 단독 영수회담을 제안하고, 박 대통령이 이를 전격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오늘 오후 3시에 추 대표와 박 대통령간의 단독회담을 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추 대표는 국민의당, 정의당 등 다른 야당들의 거센 반발과 촛불집회를 주도해온 시민사회단체들과 원로, 그리고 대다수 민주당 의원들의 반발에 반나절 만에 백기항복을 하고 단독 영수회담을 전격적으로 취소해 리더십은 타격을 입은 모양새다.
추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대다수 의원들이 단독회담 추진을 강력 성토하며 당론을 ‘박 대통령 2선 후퇴’에서 ‘즉각 퇴진’으로 바꾸는 등 강력 견제하고 나서자 결국 회담 포기를 선언했다.
추 대표도 의총 뒤 기자들과 만나 “의총에서 당론으로 대통령이 퇴진해야 한다는 총의가 모아졌다. 그래서 그 뜻을 존중해 회담은 철회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주셨고 그래서 그런 뜻을 존중했다”며 “단계적 퇴진론이 그동안 유지됐던 기조라고 할 수 있다. 오늘은 당론이 의총에서 공식적으로 퇴진론으로 모아졌기에...”라고 취소 이유를 밝혔다.
추 대표는 13일 저녁 우상호 원내대표에게 박 대통령의 회담 추진 방침을 통고하자 우 원내대표가 야당공조 파괴, 민심 이반 등을 이유로 강력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밀어붙이는 등 독주로 물의를 빚은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어서 지난 8월 27일 당대표에 선출된 지 두달 반여 만에 리더십 위기에 봉착한 양상이어서, 적잖은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추 대표는 지난 8월말 당대표 선출 후 ‘국민통합’을 명분으로 9월12일 전두환 전 대통령을 예방하겠다며 당과 아무런 협의도 없이 연희동과 방문일정에 합의했다가 최고위원 전원이 강력 반대하고 호남에서 비난여론이 비등하는 등 안팎의 거센 비판에 직면해 이를 취소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