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동아대 석당미술관, '집_기억과 기념사이' 기획전 개최

현대미술 작가, 다큐멘터리 감독, 건축가 등 다양한 장르의 예술인 참여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6.07.08 08:56:59

▲여상희 作 <묘지터에 터를 잡다>. (사진제공=동아대 석당미술관)


동아대 석당미술관(관장 김현호)이 기획전 '집_기억과 기념사이'를 오는 8월 18일까지 제1, 2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송성진, 여상희, 줄리앙 코와네 등의 현대미술 작가를 포함해 오민욱 다큐멘터리 감독, 최무규 건축가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 총 5명이 참여한 이번 기획전은 '집'이라는 건축물의 역사와 현재, 철학적인 의미 등을 거시적인 관점으로 풀어냈다.


모든 현대인들이 하루 일과를 마무리 하는 '집'은 평범하면서도 각 개인의 기억과 삶이 고스란히 녹아있는 특수한 공간으로 과거와 현재를 대변하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이번 기획전에 참가한 작가들은 자신만의 시각을 담은 사진, 설치, 영상 등 다채로운 예술작품 총 36점으로 '집'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담았다.


여상희 작가는 부산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아미동 비석마을을 재현했다. 실제 주민들이 거주하는 이 곳은 집의 주춧돌, 골목의 계단, 가스통 받침대 등이 일제강점기 시대의 일본인 공동묘지의 비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현재와 과거를 아우르는 집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여 작가는 동아대 교수진들과 자료를 수집, 비석마을을 오르는 계단 등을 재현해 <비석마을> 시리즈를 선보인다.


오민욱 다큐멘터리 감독은 미군 하야리아 부대가 위치해있던 범전동 일대가 부산 시민공원으로 조성되면서 사라져간 인근 마을의 흔적을 영상물로 담았다. 하야리아 부대가 들어선 모습, 철거 및 이후의 풍경을 담은 영상물은 철거 당시의 오브제와 함께 전시해 부산시민들의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프랑스인 줄리앙 코와네 작가는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 부산에서 거주하면서 중동·서동 및 초량 일대에서 발견한 7∼80년대 건축물을 사진으로 기록, 평면 드로잉을 작업해 외부인의 시각으로 건축물의 조형적인 특징을 표현했다.


이외에도 최무규 건축가의 <Typological model 01>, 송성진 작가의 <온도>, <사이-곳> 시리즈는 관람객에게 '집의 존재 이유', '집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 등 그동안 생각해보지 못했던 집에 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관람은 평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토·일요일 및 공휴일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무료로 가능하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