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에의 지원동기(복수 선택). (자료=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중국인 현지채용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구직들의 한국기업 지원동기 1위는 ‘개인발전 가능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가 발표한 ‘중국 구직자의 한국기업 지원동기 및 경력별 희망급여 수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구직자들은 한국기업 지원동기로 ‘개인 능력에 따른 진급 등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29.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한국어 전공 등으로 한국어 구사가 가능하기 때문(24.3%)’,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서(23.4%)’ 등 순으로 최근 한류의 영향에 따른 국가이미지 향상이 중국 구직자들의 취업 희망기업 선택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한국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중국인 구직자 322명을 대상으로 실시, 전체 응답자 중 한족이 86.3%를 차지했고 조선족 11.2%, 소수민족 2.5% 등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자 51.2%, 대학원 이상 22.7%, 전문대졸 17.7%, 고졸이하 5.6% 등이다.
특히 이번 설문조사에서 전체 중국 구직자들의 희망급여는 월 5∼6000위안(90만∼108만원)이 21.5%로 가장 많았고 6∼7000위안(16.7%), 7∼8000위안(16.4%)의 순으로 나타나 2015년 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평균 월 급여 4∼8000위안보다 다소 높았다.
한편, 지난해 중국 대졸자 가운데 1선도시(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취업자의 평균 월 급여는 4364위안(약 78만원)으로 2선도시의 3692위안보다 18.2%p 높았고 외국 합자 및 독자법인의 대졸자 평균임금은 4294위안으로 민영기업(3606위안)보다 19%p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욱태 한국무역협회 상해지부장은 “중국 구직자들은 한국기업에 취업할 경우 개인능력에 따른 진급 등 발전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진출기업들은 이러한 점을 감안, 목표달성에 따른 실적보상 체계화 등 합리적인 조직문화와 공정한 인사평가시스템 구축을 통해 현지 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로열티 및 근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