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그룹이 17일 공개한 ‘현대차그룹 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 (사진=연합뉴스)
현대자동차가 오는 2021년까지 서울 삼성동의 옛 한국전력 부지에 105층 규모의 신사옥과 컨벤션센터 등을 짓기로 했다.
17일 서울시와 현대차그룹은 사전협상을 6개월 만에 마무리하고 도시계획 변경, 건축 인·허가 등 본격 개발 절차를 밟아 내년 초 착공을 시작, 2021년까지 삼성동 부지에 105층 건물을 포함한 대규모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 컨벤션·전시회) 단지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날 확정된 현대차 부지 개발 방향의 가장 큰 특징은 서울시가 동남권 최고 입지에 법정 최대 규모 용적률을 적용, 현대차 신사옥이 랜드마크로서 기능할 수 있게 지원한 데 있다. 시는 800% 용적률 내 799.13%를 허용했다.
건축물 세부 높이나 용도는 작년 9월 현대차가 낸 수정계획과 비슷하다. 최고 105층, 연면적 56만 611㎡의 메인타워(GBC)를 비롯한 총 6개 동이 들어선다. 메인타워 높이는 전망대 등을 고려해 작년 9월 현대차가 제출한 526m에서 553m로 다소 높아졌지만 층수는 같다. 메인타워 104층과 105층은 투명 전망대로 조성된다.
나머지는 40층 높이의 호텔·업무동과 국제적 수준의 전시장(3층), 컨벤션동(3층), 공연장(7층), 전시 기능을 포함한 판매시설(8층)으로, 총 연면적은 92만 8천887㎡이며 건폐율은 48.54%가 적용된다.
국제업무, 전시와 컨벤션, 관광숙박,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게 용도지역은 제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일반상업지역으로 변경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왼쪽)과 현대자동차 김용환 부회장이 17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옛 한전부지 사전협상 기자회견을 마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시는 현대차 신사옥 단지가 완공되면 내·외국인 관광객이 급증할 것으로 보고 부지 중앙에 공공보행로를 만들어 코엑스와 탄천, 잠실운동장, 한강까지 보행 축이 이어지게 한다는 계획이다.
교통량 증가 대책으로는 영동대로 지하공간 개발을 계기로 한 철도 중심의 대중교통 체계 강화, 이면도로 확장과 주변 교차로 구조 개선, 단계별 교통 수요 관리 등 3가지가 제시됐다. 세부계획은 향후 교통 영향분석 등 법적 절차 후에 마련될 예정이다.
현대차의 공공기여금은 1조 7491억원으로 확정됐다.
예상보다 적은 금액이라는 지적이 있지만, 서울시와 현대차는 감정가를 기반으로 토지가치의 약 36%라는 법 규정에 따라 협의한 것이라며 문제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울시는 공공기여금을 현대차 부지 주변 교통 개선과 인프라 확충에 우선으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국제교류복합지구 조성 계획에 따라 잠실주경기장 정비, 한강과 탄천 환경 개선과 공원 조성 등에 쓸 예정이다.
현대차 부지 개발에 따른 이익은 생산 유발 등 경제파급효과 약 266조원, 청년등 고용창출효과 약 122만명, 세수 약 1조 5000억원 증가로 예상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 프로젝트는 현대차와 서울시뿐만 아니라 많은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해 만든 공공개발의 새 모델”이라며 “현대차 단지는 서울의 랜드마크가 되고, 국제교류지구까지 완성되면 세계 마이스 산업의 메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