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서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은 국회 재적 의원 과반 출석과 출석 의원 과반 찬성으로 가결되기 때문에 이 후보자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약 2년 만에 제2대 국무총리에 오르게 됐다.
여권 입장에서는 세월호 참사 11일 만인 지난해 4월27일 정홍원 총리가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이후 ‘삼수(三修)’ 만에 가까스로 후임 총리 선임에 성공했으나 앞서 박 대통령은 정 총리의 사의 표명 이후 안대희 전 대법관과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을 지명했지만, 두 후보자 모두 각각 신상과 이념 논란에 휘말리면서 청문회도 해보지 못하고 낙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완구 국무총리가 각종 논란과 진통 끝에 박근혜 정부의 제2대 총리로 취임하게 됐지만 박근혜 정부가 집권 3년차를 맞아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공무원연금 개혁과 공직사회 혁신, 노동시장 구조조정 등 현안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야할 책무를 맡는 등 앞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더구나 이 총리가 해결해야할 숙제는 결코 만만치 않지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커다란 정치적 상처를 입은 데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완된 내각 전반에 대해 총리로서 리더십을 확보하는 일이기 때문에 쉽지 않은 도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후 물러날 예정이던 정홍원 전 총리가 우여곡절 끝에 유임된 이후로 총리의 위상과 내각 장악력은 크게 떨어진 상태인데다가 지난해 말부터는 개각설이 끊이지 않으면서 벌써 수개월째 공직사회의 동요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새 총리의 첫 번째 임무가 내각 통할과 부처 간 업무조율임을 감안하면 가장 먼저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총리가 ‘책임총리’로서 헌법과 법률에 보장된 총리로서의 장관 제청권 등 권한을 확실하게 행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인 셈이다.
그러나 이 총리가 직면한 최대 난제는 당초에는 ‘준비된 총리’라는 평가와 함께, 무난한 인준은 물론 ‘책임총리’로서 위상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하지만 임명 직후 본인과 차남의 병역 문제, 재산형성 과정, 논문표절 등 의혹이 잇따라 터져 나온 것은 물론 청문회 직전에는 ‘언론외압’ 녹취록까지 공개되며 민심이 급속히 악화되는 등 인준 과정에서 입은 엄청난 상처에서 회복하는 일이다.
이와 관련 이 총리측은 국정비전과 총리로서의 역량을 검증받는 정책 청문회를 하겠다던 계획이 물거품이 됐고 청문회장에서 이 총리는 100번에 가까운 ‘죄송하다’는 얘기를 번복하며 거듭 고개를 숙여야 할 정도로 리더십에 타격을 입은 이 총리의 향후 행보도 다소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청와대로 쏠린 국정운영의 무게중심에도 큰 변화가 없는 동시에, 이 총리가 ‘책임총리’가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표도 한동안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