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전문가로는 전윤철 전 부총리와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이정우 전 대통령 정책실장,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 추병직 전 건설교통부 장관, 이동걸 전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이, 외교·안보 전문가로는 정세현·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등이 참여한다. 특히 윤증현 전 장관은 노무현 정부에서 금융감독위원장을,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바 있다.
김 의장은 오는 1월 26일 발매될 예정인 CNB저널과 단독인터뷰에서 국정자문회의 구성 의미에 대해 “국정자문회의 자체는 국정의 각 분야에 경륜과 관록이 있는 장-차관급 그리고 광역시도지사를 지낸 분들을 위원으로 구성해 정책과 정치 전반에 관해서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며 “여기에 IT-반도체 등을 망라한 현장에서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뛰고 있는 20~40대 젊은 청년층을 대표할 수 있는 사람들을 전문위원으로 영입해 젊은 연구원들과 국정자문회의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뤄 국정주요 이슈별로 TF팀을 만들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 의장은 “문제는 현 정부의 총체적 국정실패에도 야당이 대안이 되지 못하는 것”이라며 “추진해 온 정책을 뿌리부터 따져봐 실현성이 있고 지속가능한지 재검토해 비판할 때는 반드시 대안을 제시해야 대안정당으로 인정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김 의장은 “당초 국정자문회의에 정당 지지와 상관없이 보수적 색채를 띠는 인물도 두루 영입할 계획이었으나 윤증현 전 장관을 제외하고는 실패했다”며 “특히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나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등 보수적이라고 알려진 인사들도 영입하려 했으나 ‘하는 일이 있어 정당 자문에 참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 같다’며 고사하는 바람에 실패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의장은 당내 계파갈등의 심각성이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계파는 어떤 정치세력에서나 있을 수 있지만 우리 당의 계파가 심각하다고 지적하는 이유는, 지도자들이 당의 이익이나 나라의 이익을 위해서 일하는 게 아니라 계파나 계보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이라며 “이것을 해결할 최선의 방법은 공천을 투명하게 하는 게 제일 중요하다. 두 번째로 당직도 전면 공모제로 할 경우 계파는 모두 없어진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김 의장은 정동영 전 상임고문의 제3신당 창당 합류를 위한 전격 탈당한 것과 관련해 “우리당의 대통령 후보까지 지내신 분이 당이 잘못 가면 앞장서서 당을 혁신하고 개혁하기 위해 국민 앞에 석고대죄 해서라도 함께 고쳐나가는 데 앞장서야 옳은 길이었다.”며 “그런데 그 분은 우리 당이 너무 보수화되어 희망을 가질 수가 없다고 인식하고 말을 했지만 많은 정치 전문가들은 거꾸로 우리 당이 지난 두 번의 선거에서 실패한 이유를, 통합진보당 같은 과격한 정치세력과 연대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좌경화된 것으로 국민들에게 받아들어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그런 점에서 정 고문의 현실정치에 대한 인식에 동의하지 않는다. 정 고문의 탈당은 상황 판단 잘못이라고 본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