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위원장은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꿔야 국가개조가 가능하다”며 “개헌의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됐으며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이미 여야 국회의원 152명이 개헌 추진 모임에 참여 중”이라며 개헌과 경제 살리기는 별개라는 점을 부각시키는 등 개헌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문 위원장은 “대통령이 개헌 논의에 반대한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 헌법에 대한 논의는 국회의 당연한 역할”이라면서 “대통령이 세월호특별법 가이드라인에 이은 개헌 가이드라인을 내놓은 것으로, 의회주의를 위협하는 위험한 처사”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문 위원장은 “경제의 골든타임을 놓치면 안된다는 말에는 공감을 한다. 하지만 개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며 “이번 기회를 놓치면 개헌은 사실상 물 건너간다는 우려가 나온다. 청와대가 의회 민주주의의 블랙홀이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정세균 비대위원 역시 “삼권 분립 하의 민주주의 국가에서 입법부의 역할은 행정부 감시”라며 “피감기관의 총 책임자인 대통령이 국회 활동에 대해 불평하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 비대위원은 “경제를 살리지 못하는 것은 임기 2년째도 무엇을 할지 모르는 정부의 책임”이라며 “뜬금없이 경제 블랙홀을 말하면서 책임 미루는 것은 옳지 않다. 박 대통령은 적어도 국정감사 기간만큼이라도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지원 비대위원도 “박 대통령이 후보 때에는 개헌을 공약했다가 당선되고는 공약을 팽개치고 안면을 바꾸는 모습을 보면서 ‘제왕적 대통령’이 국가발전의 싱크홀이 되는 것 아닌지 우려가 된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박 비대위원은 “몸에 맞는 옷을 입는 것처럼 헌법도 실정에 맞게 고쳐야 한다. 개헌논의는 국가의 역량을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효율적으로 모을지를 고민하자는 것”이라며 “대통령도 국가개조를 강조했는데, 진정한 국가 개조는 개헌으로부터 출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비대위원은 “국회에서 개헌을 논의한다고 해서 다른 일을 안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은 국회 개헌논의에 ‘감 놔라 배 놔라’ 할 것이 아니라 서민의 삶을 보살피는 데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