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비대위원은 지난 25일 제5회 노무현 대통령 기념 심포지엄 기조연설에서 “시민참여 정당으로의 전환은 우리 당의 오랜 숙제”라면서 “온·오프라인을 결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당원뿐만 아니라 시민과 지지자를 광범위하게 결집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비대위원은 이날 연설에서 ‘모바일’이라는 단어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 당 바깥의 조직 동원력이 뛰어난 친노계 의원들이 전통적으로 모바일 투표를 선호했다는 점에서 일반 국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모바일 투표의 도입에 찬성한 게 아니냐는 해석을 낳았다.
실제로 모바일 투표가 재도입된다면 친노 진영이 차기 당권과 총선 공천권을 놓고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문 비대위원은 이날 연설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 연설은) 모바일 투표나 전당대회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다가오는 전대까지 시간이 많지 않아 모바일 투표를 다시 도입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흘러갈 가능성은 제가 보기에 없다”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으나, 상황을 완전히 진화하지는 못했다.
무엇보다 전대 룰 결정에 관여할 수 있는 비대위원의 신분으로 민감한 시기에 논란의 소지가 있는 발언을 했다는 사실이 비대위 구성에서 배제돼 폭발 직전인 당내 중도세력의 의구심을 자극한 것이다.
역시 민집모 소속인 조경태 의원은 “모바일 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말을 100% 다 믿기 어렵고, 네트워크 정당이라는 말 자체가 ‘그들만의 리그’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문희상 위원장이 한마디 하고, 다시 문재인 의원이 네트워크 정당 이야기를 하는 것에 불순한 의도가 있지 않을까 우려스럽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문 위원장은 이날 오전부터 오후까지 초선, 재선, 3선 의원들과 돌아가면서 선수별 릴레이 간담회를 갖고 문제의 모바일 투표 언급이 잘못 전달된 내용임을 해명하면서 비대위를 중심으로 뭉칠 것을 호소하는 등 ‘동지애’를 강조했다.
우선 문 위원장은 초선과의 간담회에서 “‘누란지위’(매우 위태로운 형세)의 침몰 위기에서 배를 건지는 게 급선무지, 배 위에서 ‘내가 선장하겠다’고 싸우는 것처럼 꼴불견이 어디 있겠나”면서 “팔로우십(followship)이 중요하다. 뭘 만들면 밀어줘야지, 만들면 허무는 식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살아 돌아와도 못 지킨다”라고 말했다.
재선 간담회에 참석한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모바일 투표와 관련된 오해를 서로 풀었다”면서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서라도 모바일이라는 현대적 수단을 안쓸 수 없다는 차원의 이야기였지, 전대 룰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었다고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