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겠다는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의 탈당 의사 표시로 촉발된 새정치민주연합 내홍이 17일 탈당 의사를 공식 철회하고 당무 복귀 의사를 밝힐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단락됐다.
박 위원장의 한 핵심 측근은 이날 오전 CNB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박영선 위원장이 전날 원내대표단이 마련한 현 사태 해결을 위한 수습안에 대한 보고를 받고 일단 심경의 변화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따라서 박 위원장이 오늘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자신의 거취 논란에 관해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이며, 탈당의사를 철화하고 당무에 복귀하겠다는 뜻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15일 저녁까지만 해도 탈당 쪽으로 기우는 듯 했던 박 위원장의 심경에 변화가 감지되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새어나오기 시작한 것은 16일 오전 원내대표단이 현 사태 해결을 위한 수습안을 마련해 당내 의견수렴에 들어가는 등 탈당 만류를 위한 전방위적 움직임에 보이면서였다.
한마디로 사면초가에 몰려 탈당이라는 극단적 카드를 꺼내든 박 위원장이 원내대표단의 수습안을 지렛대로 유턴을 위한 ‘출구찾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면서 당이 복귀 명분을 마련하기 위한 명분을 깔아주고 박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인 모양새가 연출된 것이다.
박 위원장은 16일 오후 사흘째 ‘칩거’를 이어갔지만, 휴대전화 전원을 다시 켜고 일부 의원들과 자신의 거취 및 후임 비대위원장 인선 문제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으며, 특히 통화한 한 인사들 사이에서는 “박 위원장이 누그러진 것 같다”, “기류변화가 있다”는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특히 박 위원장이 마음을 돌린 데는 동교동계 좌장인 권노갑 고문과 김원기 전 국회의장 등 당 원로들의 적극적 만류도 한몫 했다는 후문이며, 이부영 정대철 고문 등도 지난 14일 조찬 회동에서 “탈당을 말려야 한다”며 의견을 모은 상태였다.
이들은 박 위원장에게 “박영선도, 당도 큰 일 난다. 탈당은 절대 안 된다”고 강하게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권 고문은 박 위원장 남편에게도 전화를 걸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가운데 당직자들과 원내대표단이 이른바 '질서 있는 퇴각'을 통해 박 위원장이 ‘명예롭게’ 물러날 수 있도록 퇴로를 열어준다는 차원에서 이날 낮 연쇄회동을 통해 비대위원장 및 원내대표직의 ‘한시유지’를 골자로 한 수습 대책을 내놓으며 당은 급박하게 돌아갔다.
이날 마련된 수습안은 전날 원내대표단이 1차로 만든 ‘후임 비대위원장이 정해지는 대로 비대위원장직과 원내대표직을 동시에 그만둔다’는 안에서 세월호 협상이 수습될 때까지 원내대표직을 유지한다는 내용이 추가된 것으로 수습안 내용에 대해선 박 위원장과 원내대표단간에 어느 정도 교감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전수조사 결과 수습안에 대한 찬성 의견이 우세한 것으로 나오자 김영록 수석원내부대표는 박 위원장에게 이를 유선상으로 보고한 뒤 조속한 당무 복귀를 요청했하자 박 위원장은 “내일 다시 이야기하자”는 답을 했다고 한다.
김 수석원내부대표도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탈당은 안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죠”라며 “박 위원장으로서도 명예를 살리고 당의 안정을 기하며 질서있게 수습할 수 있는 길이 확보된다면 총의를 받아들이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이번 파동이 봉합 수순으로 접어든 데는 비상대권을 쥔 사실상의 ‘당수’가 탈당하는 초유의 파국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는 당내 공감대가 형성된 데 따른 것이며, 더구나 박 위원장으로서도 탈당을 결행할 경우 엄청난 위험부담을 져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적 미래가 더더욱 암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박 위원장은 17일 오후 ‘국민께 드리는 글’이라는 입장 표명의 형태로 기자회견을 하고 최종 결심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탈당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접었더라도 극단적인 방법을 검토하며 당 전체를 혼돈으로 빠트린데 대한 책임론도 두고두고 부담이 될 전망이어서 자신이 입을 ‘내상’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