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형 미래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필요성 강조

경기도 빅데이터 정책, 재난관리 연계 산업 및 일자리 창출로 승화해야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4.08.06 17:51:52

미래에는 자연.사회.사이버 재난 등이 복합되어 큰 피해를 동반하여 나타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 발 더 나아가 미래형 재난대응 대책을 산업화와 일자리 창출에 적극 활용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유영성 연구위원은 <미래형 재난대응과 통합플랫폼 구축 - 빅데이터 프로젝트 실현에 활용> 연구보고서에서 미래형 정보통신 신기술인 빅데이터,클라우드,사물인터넷을 적극 활용한 미래형 통합 재난관리 정보플랫폼 구축을 피력했다. 아직 이러한 정책기조가 세워지지 않은 데 대한 대책 강구인 셈이다.
최근 30년간 자연재난은 2배 이상 증가했고 정보인프라 붕괴는 2014년 글로벌 위기 중 파급력 5위를 차지했다.
2013년 안전행정부 안전의식조사만 봐도 국민의 상당수가 재난(26.5%)과 안전사고(50.0%)에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는 디지털 재난과 자연+사회재난의 복합적 형태에 대한 대응, 즉 미래형 재난 대응에 주목해야 할 시점인 것이다.
유 연구위원은 사고 초기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재난에 대응하는데 ‘현장’과 ‘수요자’ 중심의 정보시스템 연계를 최우선으로 꼽는다.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표출되는 엄청난 양의 빅데이터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의 빅데이터 정책은 미래 복합형 재난 대응과 연결하여 일자리  창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빅데이터 프로젝트를 재난안전관리 빅데이터+사물인터넷+클라우드의 ‘디지털 뉴딜’ 정책으로 승화하자는 것이다.
유영성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경기도형 미래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31개 시·군과 산하기관이 공동 이용토록 하고 재난안전관리 연계 빅데이터센터를 설치하며 판교테크노밸리를 핵심거점으로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 산업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