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증권이 3분기 금융감독원 공시 기준으로 퇴직연금 증권 사업자 적립금 순위에서 2위를 차지했다고 28일 밝혔다.
삼성증권 퇴직연금 적립금이 지난해 말 15조 4000억원에서 올해 9월 기준 18조 9000억원으로 22.6% 증가했다. 적립금 1조원 이상 전체 사업자 중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개인형 퇴직연금(DC+IRP)은 지난해 말 11조 3000억원에서 올해 9월 기준 14조 8000억원으로 31% 늘어났다. 그중 ETF는 3조 4000억원에서 5조 8000억원으로 71% 성장했다. 같은 기간 40대의 ETF 잔고는 72%, 50대의 ETF 잔고는 78%로 증가했다.
삼성증권의 3분기 기준 퇴직연금 수익률도 사업자 중 선두권으로 나타났다. 올해 3분기 기준으로 전업권 적립금 상위 10개사를 대상으로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삼성증권의 DB형, DC형, IRP도 수익률 모두 상위권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증권 측은 연금 잔고의 성장 배경으로 가입자 중심의 연금 서비스들을 꼽았다. 국내 최초로 지난 2021년 퇴직연금의 운용관리, 자산관리 수수료가 무료인 ‘다이렉트IRP’를 출시했고, 연금 가입자가 가입 서류 작성과 발송을 하지 않고 가입할 수 있도록 편의를 높인 ‘3분 연금’ 서비스를 선보였다.
또한 삼성증권은 별도의 연금센터를 신설해 서울과 수원, 대구에서 3곳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연금센터에서 PB 경력 10년 이상의 숙련된 인력이 전문화된 연금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증권 연금본부장 이성주 상무는 “퇴직연금은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수한 연금 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해 고객의 든든한 연금 파트너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