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박대출 의원 "서부경남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추경 반영을"

최근 10년간 산불 발생횟수, 경남이 4번째 많아…"'산불 추경' 목적 맞도록 예산 반영 필요"

  •  

cnbnews 최원석기자 |  2025.04.23 18:00:11

박대출 의원이 23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2025년도 1차추경안 상정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박대출 국회의원(경남 진주갑)이 정부에 서부경남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구축 사업을 추가경정예산에 반영시켜야 한다고 요구했다.

박 의원은 23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2025년도 1차추경안 상정 전체회의에서 김윤상 기획재정부 2차관에게 이와 같이 질의했다.

박 의원은 “경남은 산불이 전국에서 4번째로 많은 지역인데, 경남 뿐 아니라 남부권역에는 산불방지센터가 하나도 없다”며 “이번 추경은 산불 추경, 수출 추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피해복구와 함께 산불 사전 대응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산림청이 발간한 2024년 산불통계 연보에 따르면, 최근 10년(2015년~2024년) 간 지역별 연평균 산불 발생건수는 경남이 49회로 경기(129.9회), 경북(85.8회), 강원(74.1회)에 이어 네 번째로 많다. 또한 경남은 산림면적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넓고, 지리산·덕유산·가야산 등 국립공원 보호림이 밀집해 있으며, 이번 초대형 산불에도 경북지역과 함께 가장 큰 인적·물적 피해를 입은 바 있다.

하지만 강원, 경북 지역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산불방지센터’와 ‘국립 동해안 산불방지센터(설치중)’가 각각 소재한 반면, 경남을 비롯한 남부권역에는 대형 산불에 통합적으로 대응할 전담기구가 부재하다.

이상기후 등으로 인해 갈수록 산불이 장기화·대형화되는 추세 속에서 경남 등 국토 남부권의 산불 진화 협력체계 및 상시 대응력 강화를 위한 광역거점으로 서부경남의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역할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에 박 의원은 “남부권역을 통할하는 국립 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치가 필요하다”며 추경 반영을 요구했고, 김 차관은 “세부 내용 따져보겠다, 잘 검토해보겠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박 의원은 이번 산불 피해 농민들의 자립기반 확보 및 재건 성격의 지원 사업 추경 반영도 촉구했다.

박 의원은 “(산청·하동 등) 지역의 주요 기반은 자생 천연물, 농산물 생산인데, 이번 산불로 농가가 붕괴되고 지역 경제가 소멸 위기에 놓여있다”며 “농산물 계약재배 등 피해 농가들의 신속한 재건과 후속 피해도 차단할 수 있도록 ‘천연물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사업에 경남을 명시하여 증액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산불 예방 및 신속 대처를 위한 거점 구축과 생계에 타격을 입은 주민들의 자립기반 재건은 이번 추경의 중요한 목표”라며 “이번 ‘산불 추경’이 목적에 부합하도록 신경써서 살피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내년 본예산 때도 계속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