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중도층 ‘反이재명 정서’ 집중 공략
민주, ‘우클릭 전략’으로 수권 능력 부각
‘민생·실용’ 최대 화두... 치열한 수싸움
여야는 3일부터 시작된 2월 임시국회에서 조기 대선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격돌하는 등 치열한 프레임 싸움에 돌입할 전망이다.
우선 국민의힘은 중도층의 반(反)이재명 정서를 자극하면서 집권 여당으로서의 안정감을 집중적으로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인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를 앞세워 수권 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하겠다는 전략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인공지능(AI) 쇼크와 경제 위기감 속에 관련 민생법안을 두고 접점을 모색할 지도 주목되고 있다.
일단 여야는 오는 10∼11일로 예정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통해 조기 대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상대방 기선 제압에 들어간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10일 있을 대표연설에서 여당 주도로 국정 공백을 해소하겠다면서 집권 여당의 안정감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히 민주당 이 대표의 과거 정책·행보를 열거함으로써 현재 이 대표의 우클릭 행보가 허구라는 점을 주장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3일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차기 대권주자 관련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나 지지율이 박스권에 갇힌 양상이어서 ‘이재명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알리는 기회로 삼으려 한다”면서 “만약 이 대표가 정권을 잡을 경우 우려되는 문제점을 조목조목 따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이 대표는 오는 11일에 있을 대표연설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으로 야기된 내란 사태와 탄핵 정국이 이어지며 민생이 큰 타격을 입은 만큼 경제 회복과 성장에 방점을 찍을 연설을 통해 내란 극복 의지를 다지면서 민생·경제 회복 우선의 국가 운영 비전을 보여주는 등 제1야당인 민주당의 수권 능력을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 대표가 중도·보수층을 공략하는 우클릭 행보를 이어가는 차원에서 실용주의를 강조했던 기자회견에 이어 이번 대표연설에서는 내란 극복, 회복과 성장을 위한 구상을 밝히면서 구체적인 정책을 제안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민생·경제는 물론 외교·안보 관련 정책도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그리고 이번 2월 임시국회의 또 다른 관심사는 그동안 여야가 접점을 찾지 못한 민생 입법들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AI 모델 개발로 촉발된 ‘AI 쇼크’ 등이다.
이에 국민의힘은 반도체지원 특별법, 첨단에너지 관련 3법 등을 ‘미래먹거리 4법’으로 규정하며 야당에 처리를 압박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가기간전력망확충법 등 에너지 3법은 설 연휴 전 여야 정책위의장 회동을 통해 의견 접근이 이뤄졌지만, 반도체 산업 종사자에 대한 주 52시간 적용 예외를 골자로 하는 반도체법과 관련해서는 국민의힘은 국내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위해서는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근로기준법을 무력화한다며 반대하는 등 이견이 여전하다.
정치권에서는 3일 민주당의 반도체법 토론회가 법안 처리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대표가 지난달 23일 기자회견에서 “필요한 조치를 과감하고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만큼 기존 입장에서 선회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또한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위한 추가경정예산안 편성과 중장기적 재정·복지 이슈인 국민연금 개혁 등 주요 현안을 놓고도 기 싸움이 팽팽해 이번 임시국회에서 진전될지 주목된다.
연금개혁과 관련해 이 대표는 최근 ‘2월 중 모수개혁(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 완성, 이후 구조개혁 즉시 추진’ 방침을 천명하는 등 국민의힘을 압박하고 있다.
야당이 다수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를 통해 모수개혁부터 논의하자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여야 동수의 연금개혁 특위를 꾸려 모수·구조개혁을 동시에 추진하자고 맞서는 등 간극이 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