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광주광역시, 사회복지시설 공익신고제도 홍보 강화

  •  

cnbnews 박용덕기자 |  2021.07.23 17:09:50

포스터.(사진=광주시)


사회복지시설 2173곳에 홍보 포스터 제작·배포
공익신고자 보호 최우선…내용에 따라 포상금 지급


광주광역시는 사회복지시설의 투명성 제고 및 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공익신고제도 홍보를 강화하기로 하고 오는 26일부터 지역 사회복지시설 2173곳에 홍보 포스터 4000부를 제작·배포한다.

23일 광주시에 따르면 공익신고 유형으로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허위등록, 무자격자 채용, 입소·이용자 허위등록, 보조금 허위청구 및 횡령, 페이백, 회계부정 등 각종 비위사실이 있는 경우다.

신고방법은 시 홈페이지 바로응답 신고센터, 국민권익위원회 청렴포털(www.clean.go.kr), 보건복지부 복지포털 복지로(www.bokjiro.go.kr)에 등록하거나, 국번 없이 1398 또는 110으로 신고하면 된다.

공익신고자는 ‘공익신고자 보호법’ 등 관계 법규에 따라 인적사항 비공개, 신분상·인사상·경제적 불이익 금지, 위법행위 책임강경 등의 보호조치를 받게 되며, 공익신고로 인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직접적인 수입의 회복 및 증대 또는 재산상 이익을 가져오거나 손실을 방지한 경우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최대 30억원의 보상금과 최대 2억원의 포상금을, 광주시로부터는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광주시는 제보된 비위행위에 대해 필요시 특정감사 실시 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관내 사회복지시설에서의 불법·부당행위 근절하고 시설운영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이갑재 시 감사위원장은 “그동안 사회복지시설의 비위행위 등에 대해 공익신고 건수가 매우 저조한 실정으로 이는 공익신고자 보호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것이 원인으로 여겨진다”며 “앞으로 공익신고자에 대한 보호를 최우선으로, 공익신고자 보호 및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사회적 신뢰 회복과 청렴광주 이미지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