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광주시당이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역사의 땅”이라며 “LH는 초고층 아파트로 인한 수익장사 계획을 그만 거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광주 문흥동의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40여년 통한의 민주주의 역사가 서려있는 곳”이라며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잡혀와서 고문당하고, 수용됐던 곳이다. 수익창출에만 매달려 역사적 의미를 퇴행시켜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에는 계엄군의 광주봉쇄작전 중 사망한 이들의 시신이 교도소 인근에 암매장되었다는 증언도 나왔다. 이에 광주시는 10년 전부터 교도소 이전 부지를 정의와 자유의 중심지로 아시아인권 교류의 장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고, 교도소 터 일부를 민간에 매각한 후 개발이익금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면서 “하지만, 이 사업을 위탁받은 LH가 제대로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수익에만 집착하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꼬집었다.
광주시당은 “(LH 가)광주시에 제출한 토지이용계획에 따르면, 옛 시설인 교도소 원형 복원은 23%에 불과하다. 전체 부지의 16%에 30층 이상의 주상복합 아파트 건립이 예상된다”면서 “애초 조성 목표인 민주·인권기념파크의 취지는 뒷전이고, 땅장사에만 골몰해서 수익에만 집착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투성”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