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여야, ‘지역253+비례47’ 선거구案 원칙합의

  •  

cnbnews 유철민기자 |  2016.01.24 17:56:47

여야 원내지도부는 23일 오후 국회에서 회동하고 20대 총선에 적용할 선거구 획정과 관련, 현행대로 국회의원 정수를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를 253석으로 현재보다 7석 늘리고 대신 비례대표를 47석으로 줄이기로 원칙 합의했다.

여야는 이날 ‘지역구 253석 + 비례대표 47석’이라는 대원칙에는 잠정적으로나마 합의를 봤으나, 새누리당이 노동개혁 법안과 선거구 획정안의 연계 원칙을 고수했다.

이에따라 여당이 연계처리 방침을 포기하거나 노동개혁 법안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선거구획정안 확정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 김용남 원내대변인은 이날 회동 직후 브리핑에서 “지역구를 253석으로 가져가는 것은 여야가 거의 의견을 모았다”며 “지금까지 야당이 주장한 (최소 의석수 등 선거제도) 내용은 20대 국회에서 특위를 구성해 논의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같은당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선거구 획정은 많이 접근됐는데 세부적인 내용 조율이 끝나지 않았다”면서 “경제활성화법과 노동법을 같이 처리해야지 선거구 획정만 처리하는 것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더민주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선거구획정은) 원래 당대표와 원대표, 원내수석부대표, 정개특위 간사가 의견을 모은 ‘253석+47석’ 안으로 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를 이뤘고 선거제도에 관한 것은 추가로 논의해서 다른 법률과 같이 처리하기로 원칙 합의됐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는 선거구 획정 처리시점을 29일로 요구했는데 새누리당은 노동개혁법안과 연계해 같이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선거구 획정은 예비후보나 국민의 권리를 충족하기 위해 29일 반드시 처리해야 하고 이것을 노동개혁법과 연계하는 태도는 옳지 못하다”고 비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