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동해안이 주목받고 있다.
26일 동해시는 "2015년도 정부합동 공모사업인 공동물류 공공지원 사업의 1단계로 물류센터 건립 컨설팅 사업에 강원도에선 유일하게 공모에 선정됐다. "고 밝혔다.
최근 중국과 러시아의 동해권 정책 변화와 북한의 중국/러시아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유라시아이니셔티브 전략과 북극항로 개발계획, GTI 계획 참여, 북방교역을 위한 철도 인프라 확충 계획 참여 등 능동적인 대처를 표방하고 있다.
북극항로 개설의 기대감과 중국, 러시아의 육상 운송을 통한 북·중·러 경제협력 심화 등에 대응한 강원도의 우위 선점 및 연계 협력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그간 강원도에서도 금강산 관광 사업을 축으로 한 육상 운송과 동해항/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 간 북방항로 개설 등 경제협력을 적극 추진해 왔다. 하지만 금강산 관광 등 교류가 중단되면서 남북 경제 협력은 경색돼 왔다.
시에 따르면 동해안과 유럽을 연결하는 북극항로는 2020년 이후 상업 운항이 가능할 전망이며 강원도 항만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도로 및 철도 등 교통 인프라 확충으로 향후 타 지역 항만에 비해 물류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평이다.
아울러 현재 태백~삼척 간 38국도 개설, 제2영동고속도로 개설, 원주~강릉 복선전철, 삼척~포항 간 동해중부선 철도개설 등이 2019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이러한 교통 인프라 여건 변화에 따라 향후 항만의 물류 운송비용이 동해항은 부산항, 울산항 등과 비교해 내륙 운송의 경우 도로 운송은 서울, 인천, 충북, 충남에 비해 유리하고 철도 운송은 서울, 인천, 경기에 비해 유리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동해안 항만은 발전 가능성이 있지만 강원영동 남부권에는 제대로 된 공동물류센터가 전무한 실정이다. "며 "향후 제조업의 투자를 확대하고 관련 서비스업의 동반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 인구증가 등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공동물류센터 건립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동해시 경제자유구역 물류유통 부지를 중심으로 강원영동 남부권의 물류를 총괄한다는 야심찬 계획으로 공동물류센터 건립에 박차를 가할 것 "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