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기고] 과학으로 증명된 경주마 질주본능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5.01.31 18:11:39


빠르게 달리도록 최적의 조건으로 탄생시킨 게 더러브렛 경주마이다. 불필요한 부분은 제거하고, 최소한의 근육으로 최고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된 다리, 적당한 체구와 몸무게, 눈과 머리의 적당한 거리, 독특한 순환 기관 발달 등 말의 과학성을 엿볼 수 있다.


이처럼 경주마에게 숨겨져 있는 과학에 대해 알아보자.


말이 오래 선 자세로 버틸 수 있는 것은 다리 구조상 가능한 것이다. 말 뒷다리의 관절, 힘줄과 인대는 서 있든 움직이든 에너지를 보존하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다리의 구조는 말이 정지해 있을 때 다리가 근육에 의지하지 않고도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한다.


사람은 근육의 수축, 이완과 함께 인대의 기능이 합쳐져야만 운동작용이 가능하다. 부동자세로 서있을 때도 근육과 인대의 역할비중이 달라질 뿐 근육과 인대의 역할은 필수적 요인이다.


하지만 말은 근육의 힘을 빌지 않고도 인대만으로 서있는 것이 가능하다. 특수한 구조로 된 다리의 인대는 다리의 관절을 고정시켜 인대만으로 체중을 지탱하여 서있는 동안 근육의 역할이 없기 때문에 에너지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발달하게 된 이유는 야생에서 휴식을 취하다가 맹수의 급습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으로, 앉거나 누워있을 때보다 서 있다가 피하는 경우가 생존확률이 크게 높기 때문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서서도 잘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는 경주마들이지만 유독 경주마들 중 누워서 자거나, 편안히 앉은 자세로 자는 말들이 있다는 것이다.




- 달리기에 적합한 다리


말의 최고 속도는 시속 65km로 치타나 영양보다 느리지만, 지구력이 좋아 장거리를 잘 달릴 수 있다. 이처럼 말이 잘 달릴 수 있는 것은 완충력과 추진력을 겸비한 다리가 있기 때문이다. 말이 질주할 때에는 엄청난 충격이 발굽으로 전달되나, 이를 잘 견디도록 다리가 발달해져 왔다.


또한 보폭이 길수록 더욱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기에 보폭을 더 길게 하는 ‘길고 가는 다리’로 자라도록 발달한다. 그러기 위해 중요한 부분들은 훨씬 더 가벼워야할 필요성 때문에 다리의 뼈는 가볍고 근육은 무겁게 되었다. 그래서 경주마의 경우에는 달리는데 있어 불필요한 근육이 많이 제거되었다.


또한 말의 엉덩이 관절은 어떤 평면에서든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상관절이 아니라, 넓적다리뼈를 전후로만 움직이게 하는 비스듬한 실린더 형이다. 토끼처럼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길기 때문에 오르막은 잘 오르지만 내리막길은 매우 취약하다. 경마경기가 평지에서 주로 이뤄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 말의 굽


말에게 있어 생명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발굽이다. 발굽의 주성분은 젤라틴으로 달릴 때 지면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말이 전속력으로 달리게 되면 발굽에 작용하는 충격은 말체중의 약 8배(500kg 일 경우 4톤)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견뎌 낼 수 있는 것은 다리와 발굽의 구조가 교묘해서 그 충격을 완화시키기 때문이다. 발굽은 열에 강하며 한 달에 약 9mm 정도 자라는데 경주마는 보통 20일을 주기로 새로 자라난 굽을 깎아 내고 새 신발(편자)을 갈아 신겨야 한다.


자연에서의 말은 스스로 필요한 만큼 운동을 하기 때문에 발굽이 심하게 손상되지 않으나 경주마는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발굽을 보호하기 위한 편자의 착용은 필수적이다. 사람의 발 사이즈가 제각각이듯 경주마들도 굽의 사이즈가 다 달라 고도로 숙달된 전문 장제사가 편자교체작업을 전담한다.


- ‘눈과 눈’, ‘입과 눈’ 사이가 멀고 시야는 약 350도


말은 사방을 잘 살필 수 있도록 눈과 눈의 사이가 매우 멀다. 이것은 영양이나 사슴 등 다른 초식 동물과 비슷한 사정이기도 하다.


야생에서 포식자의 출현을 조기에 알아차리는 것 자체가 생존의 수단이었기 때문에 앞, 옆은 물론 뒤까지도 관찰할 수 있도록 눈과 눈 사이가 멀게 발달했으며 그 시야는 무려 350도 이상이다. 이밖에도 눈과 입과의 거리가 먼 이유는 땅 아래 낮은 위치에 있는 풀을 먹으면서도 눈은 적이나 포식자의의 출현을 알아 볼 수 있도록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은 먹을 수 있는 먹이와 그렇지 않은 것들의 구분을 눈이 아닌 입술로 하게 된다. 말의 가장 예민한 부분이 입술인 이유도 먹을 것을 구별해낼 수 있도록 많은 신경이 몰려있기 때문이다.


/ 한국마사회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홍보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