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부경대 글로벌차이나연구소, 제3회 동아시아 청년학 콜로키움 개최

김홍중 서울대 교수 ‘그들은 왜 아이를 낳지 않는가’ 주제로

손혜영 기자 2025.10.24 14:21:08

21일 ‘제3회 동아시아 청년학 콜로키움’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국립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차이나연구소 HK3.0 사업단은 지난 21일 인문사회경영관 509호에서 ‘제3회 동아시아 청년학 콜로키움’을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서울대학교 김홍중 사회학과 교수가 ‘그들은 왜 아이를 낳지 않는가’를 주제로 발표를 맡아, 기후 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이 출산을 중단하기로 결정한 이유를 탐구한 인터뷰 연구를 소개하며, 그 결과 드러난 세 가지 주요 증상(symptoms)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첫째, 청년들이 다가올 시대의 파국을 예감한 인식을 통해 출생을 보류하거나 중단하려는 행위로 이어졌고, 둘째, 성찰적 비출산(reflective non-birth)이라는 태도를 기반으로 다가올 파국을 예감하면서도 아이를 낳는 것은 불안한 선택이자 태어날 아이에게 무책임한 일로 인식한다고 밝혔다.

셋째로 청년들은 아직 태어나지 않은 미래의 아이를 잠재적 행위자(agent)로 바라보기 때문에, 미래로부터 오는 이 명령에 자유롭지 않아 출생 결정 자체가 근본적으로 제약된다고 봤다.

김홍중 교수는 “오늘날 청년 문제를 단순히 사회적 병리나 개인적 문제로 환원하기보다, 시대의 증상학(symptomatology)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발표에 이어 국립부경대 글로벌차이나연구소 HK3.0 사업단의 김선기 교수와 박은혜 교수가 지정토론자로 참여해 토론을 펼쳤다.

국립부경대 글로벌차이나연구소는 동아시아 청년학(East Asian Youth Studies)이라는 연구 비전을 확산하고, ‘청년학’ 연구를 매개로 청년들과 함께 미래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시아센터와 함께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