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건설업 위기 극복 위해 전문가·업계와 긴급 간담회 개최

임재희 기자 2025.04.21 09:45:27

18일 부산시청 26층 회의실에서 '건설업 위기 극복 전문가-건설업계 회의'가 진행 중이다.(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장기화되는 건설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 및 건설업계 관계자들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지난 18일 오후 2시, 시청 26층 회의실에서 ‘건설업 위기 극복 전문가-건설업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임경모 도시혁신균형실장 주재로 열렸으며,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을 비롯한 금융·건설 전문가들과 종합·전문·건설기계 분야 등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해 실질적인 해법 마련에 나섰다.

실제로 국내 건설업계는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2024년 2월 기준 전국 건설 수주액은 11조 3천억 원으로, 최근 6년 중 가장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고용 역시 감소세다. 건설업 고용자는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부산의 주택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미분양 물량은 최근 5년 평균 대비 186% 증가했으며, 준공 후 미분양은 무려 215%나 급증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치·대외적 불확실성까지 겹쳐 현재 진행 중인 공사도 위축될 것으로 보여, 침체의 골은 더욱 깊어질 전망이다.

이날 회의에서 시는 공공 및 민간건설사업 물량 확대, 지역 하도급 참여율 제고, 금융지원 방안 등 다양한 대책을 논의했다.

건설업계는 공사비 현실화와 중소규모 건설·유지보수 공사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하도급업체의 특성을 고려한 조기 발주와 신속한 공사 집행의 필요성, 미분양에 따른 미수금 부담 해소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건의했다.

전문가들은 부산이 지향하는 글로벌허브도시 조성에 맞춰 도시 재구조화 및 대규모 민관 협력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착공이 지연되고 있는 공사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 필요성과 함께, 인허가 절차의 신속화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임경모 실장은 “이번 회의는 위기 대응을 위한 긴급한 자리이자, 시의 역할을 새롭게 고민하는 계기”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겠다. 필요 시 정기적인 민관 회의도 지속적으로 열 것”이라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