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의 주거 실태조사 결과, 시민의 주거복지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산연구원이 부산주거복지센터 설치와 주거포털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부산연구원은 26일 위와 같은 내용의 ‘부산 시민 주거 실태와 정책 방향’ BDI 정책포커스 보고서를 발표하고 부산의 주거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시에서는 지난해 8월부터 지난 3월까지 최초로 부산에 거주하는 1만 가구를 대상으로 주거 실태조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평균 주택 가격은 2억 6694만원으로 나타났다.
주택 평균 가격은 수영구가 3억 7493만원, 강서구가 3억 3491만원, 해운대구가 3억 3418만원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상위권 평균 가격을 기록했다. 부산지역의 전세 보증금 평균은 1억 1247만원, 월세 보증금은 1741만원을 기록했다.
주택 구매에 대한 평균 대출금액은 9880만원으로 16개 구·군 가운데서는 중구가 7억 492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임차보증금에 대한 평균 대출금액은 5298만원으로 구·군 중에서 강서구가 8496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다주택 소유 비율은 22.9%로 남구(27.4%), 동래구(26.5%), 해운대구(26.0%) 등의 순으로 많았다. 특히 소득이 높을수록 다주택 소유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례로 월 400만원 이상 소득 가구의 31.9%가 다주택 소유자로 조사됐다.
반면 주거 복지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시민의 비율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주택 구매 자금 대출 지원에 8.9%, 주거 급여 7%, 공공임대주택 6.8%, 주택 전세자금 대출 지원 4.5%, 주택 개량·개보수 지원 2% 등 복지 정책 이용 시민의 비중이 전체적으로 낮았다.
주거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못한 이유로 ‘어떤 프로그램이 있는지 몰라서’라고 응답한 인원이 37.6%로 가장 많아 주거 복지 정책에 대한 정보와 상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동현 선임연구위원은 이같은 시민 주거실태 조사를 토대로 시민을 위한 밀착 주거지원 서비스와 주거 정보 제공을 위한 ▲부산시 주거복지센터 설치 ▲부산주거포털 구축 등의 정책 과제를 제시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주거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주거 복지에 대한 정보 제공, 상담, 주거 관련 조사 지원, 임대주택 등의 정보 제공, 주거복지 관련 기관·단체의 연계 지원이 가능하다”며 “또 주거복지 통합 시스템 구축으로 1~2인 가구, 청년, 고령층 등 취약가구의 급속한 증가에 대처하고 수요자 맞춤형 주거복지 서비스 제공, 주거복지 플랫폼의 시스템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