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G7 확대정상회담에 참석 요청에 문재인 대통령이 응하면서 한중 관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 저녁 문재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G7회의에 참석해 줄것을 요청했고, 문 대통령은 기꺼이 응하겠다고 답했다고 청와대가 전했다.
청와대 강민석 대변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밤 9시 30분부터 15분간 가진 통화에서 “G7이 낡은 체제로서 현재의 국제정세를 반영하지 못한다. 이를 G11 이나 G12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중”이라면서 “문 대통령 생각은 어떠냐”고 물은 뒤 문 대통령에게 G7 정상회의에 참석해줄 것을 초청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미국이) 올해 G7 정상회의 주최국으로서 한국을 초청해 주신 것을 환영하고 감사드린다”면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님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며,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한국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고자 한다”고 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금년도 G7의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적절한 시기에 대면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G7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 이를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고, 이에 문 대통령은 “G7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응대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브라질도 포함시키는 데에 대한 의견을 물었고, 문 대통령은 “인구, 경제규모, 지역대표성 등을 감안할 때 포함시키는 것이 적절하다”고 답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좋은 생각이다. 그런 방향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G7회의를 G11 또는 G12로 확대하기로 한것은 사실상 대(對)중국 봉쇄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중국을 빼고 한국, 러시아, 호주 등을 참석시키려는 데는 중국을 고립시키겠다는 의도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반발이 예상되는 등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런 점에서 문 대통령이 신중을 기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기도 했지만, 결국 문 대통령은 코로나19로 급변하는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면 이번 기회를 살려야 한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미국의 첫 민간 유인우주선 ‘크루 드래건’호의 발사 성공에 대해 “인류에게 큰 꿈을 심어준 매우 멋진 일”이라며 “미국이 민간 우주탐사 시대라는 또 다른 역사를 열었다”고 축하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
한미정상의 통화는 문 대통령 취임 후 25번째이자 올해 들어 세 번째이며, 총선 직후인 4월 18일 통화한 이후로는 44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