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2030년 도시기본계획' 확정, 동남권 광역중심도시 구축

온실가스 37% 감축, 미세먼지 농도 29% 저감 등 생활밀착형 계획지표체계 도입

  •  

cnbnews 이소정기자 |  2017.11.15 08:30:26

▲부산시청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최상위 도시정책계획인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시민의 눈높이에 맞춘 '시민참여형 도시계획'으로 최종 확정했다고 14일 밝혔다.

2030 부산도시기본계획은 부산시 최상위 공간 계획으로서 부산의 미래상과 발전 전략은 물론, 도시 계획의 패러다임과 부산시 여건 변화 등 대내·외적 여건 변화에 따른 도시역할 재정립과 신공항, 서부산 그랜드플랜, 해양산업 클러스터, 센텀2 도시첨단 조성 등 주요 현안 사업에 대한 실현 방향을 반영했다. 

이는 인구 1000 만의 메가로폴리스를 지향하는 부산권의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등 차별화 전략으로 수립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2030년 도시기본계획은 지난 2015년 5월 착수했으며, 이후 시민계획단 운영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오는 15일 확정공고할 예정이다. 공고와 동시에 도시관리계획, 주거환경 정비계획 및 도시재생계획, 도로, 공원·녹지계획 등 각종 부문별 계획의 최상위 계획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을 주요 내용은 '도시미래상', '삶의 질 위주의 생활 밀착형지표체계로 개선', '메가로폴리스로서 부산권 발전 전략', '부산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간구조 개편', '균형발전과 자족기반강화를 위한 생활권 발전방향', '지속가능한 부산다운 토지이용', '편리하고 쾌적한 기반시설 조성' 등 모두 7가지다.

▶도시미래상 

지금까지 관 주도의 계획과는 달리 140명의 시민계획단이 `15년 8월부터 4차례의 토론과 숙의 과정을 거쳐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해양수도 부산'을 부산시 미래상으로 제시한다. 또 부산시 비전인 '사람과 기술 문화로 융성하는 부산'을 달성하도록 하는 등 시민이 직접 참여하고, 시민의 눈높이에서 부산 시 최상위 도시정책을 결정했다.

▶삶의 질 위주의 생활 밀착형지표체계로 개선

주요 계획 지표는 기존 공급자 위주의 지표체계에서 시민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걸 맞는 생활 밀착형 지표로 전환함으로써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뒀다.
 
추가된 생활 밀착형 주요지표는 신 재생에너지, 온실가스 배출량, 대기질, 교통사고 사망자수, 음주율, 흡연율 등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분담률을 기존 1.9%에서 30%까지 올리고, 기존 온실가스배출량 2221만 9000톤의 37%를 감축시키는 것이다. 또한 ㎥당 미세먼지도 기존 28㎍에서 20㎍으로 29%를 저감시키는 등 기존의 목표치를 크게 낮춰 제시함으로써 선진도시들과 경쟁이 가능하도록 했다.

▶메가로폴리스로서 부산권 발전 전략

부산·울산·경남의 1000만 인구 메가로폴리스로서 부산권 발전전략을 제시했다. 메가로폴리스로서의 부산권 개념은 부산이 부산·울산·경남, 1000만 인구의 광역중심으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부산의 매력과 잠재력 활용으로 대외 영향력을 확산하려는 개념이다.
 
주요발전 전략으로는 부산·울산·경남을 통합하는 부산권을 설정하고, 광양·부산·울산 등 인접지역을 90분 이내로 연결하는 삶을 공유하는 광역권 형성, 경제·관광 등을 네트워크화 해 반나절 생활교통망을 구축, 광양~부산~포항에 걸친 300km에 이르는 해양산업벨트를 연계시킨 해양산업클러스터 조성 등이다. 

▶부산권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간구조 개편

1000만 인구의 부산권 성장 견인과 메갈로폴리스로서의 경쟁력 확보, 부산시의 균형발전 측면을 고려해 기존 2도심·6부도심·4지역중심으로 설정됐던 공간구조에서 서면·광복 2개의 도심 외에,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는 강서·해운대 지역을 도심으로 승격시켜 총 4개의 도심으로 확대 설정했다.

또한 배후에서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김해신공항 등을 고려한 6부도심과 지역별 도시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5개의 지역특화핵을 설정하는 등 1광역중심·4도심·6부도심·5지역 특화권으로 재편했다.

▶균형발전과 자족기반강화를 위한 생활권 발전방향

도시기본계획의 실현을 위해 부산시를 3개 생활권으로 구분하고 생활권별 발전방향과 실천전략을 제시했다.

서부산 권역의 세부 실천전략을 살펴보면 신공항을 중심으로 한 물류산업·주거·관광이 연계되는 글로벌 관문도시로서 주거매력도 강화와 산업체질 개선을 통한 산업재생을 목표로 정했다. 이를 위한 주요 사업계획으로는 향후 `26년 신공항 개항을 목표로 해운과 항공의 연계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고, 스마트 산업·물류 강화를 위한 기반시설 강화와 순환재생형 산업단지를 조성함으로써 글로벌 주거·문화·관광을 위한 자족도시 환경을 마련할 방침이다.

중부산권은 북항재개발에서 역세권과 구릉지 재생을 아우르는 경제기반형 컴팩트 도시재생을 순차적으로 시행하고, 역사문화자원과 해양과의 연계를 통한 부산의 상징성 강화를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226개소의 재생사업과 역세권 개발 등 각종 원도심 재생사업을 통해 경쟁력을 지속시키고, 행복주택, 부산외대 이전부지 개발 등을 통해 도시공간을 재창조한다. 

또한 기존에 진행 중인 북항재개발 2단계를 `30년까지 완료해 해양신산업 클러스터 등과 연계되도록 할 계획이다.
 
동부산권의 실천전략으로는 바이오·에너지 등 미래형 첨단산업의 메카로서 관광휴양개발과 친환경 주거 인프라 확충 등 주거 트랜드 변화와 친환경 산업수요를 결합시킨 지역특화개발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 등을 통해 미래형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접경지역 주거단지 조성 등 미래 주거수요에도 대비할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부산다운 토지이용

향후 `30년까지의 부산시에서 확보해야 할 주거용지는 7.5㎢ 증가한 154.7㎢로, 상업용지는 2.6㎢증가한 36.6㎢로 계획했다. 공업용지의 경우는 6.3㎢ 증가한 86.8㎢로 계획하는 등 주거용지·상업용지·공업용지를 미리 확보하는 계획을 통해 미래 성장을 고려한 토지이용의 토대를 마련했다.

주거용지 공급으로 임대주택 7만호를 포함한 약 12만 6000호의 주택을 추가로 공급이 가능하며, 상업용지 확대로 약 26만 8000개의 일자리 공급과 약 3만 5000개의 신규 사업체가 창출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업용지의 추가 공급으로 약 17만 5000개의 일자리 공급과 약 3만개의 신규사업체가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편리하고 쾌적한 기반시설 조성
 
기반시설 계획으로 고속간선망 도로는 구축해 부산 전 지역의 고속 접근체계를 갖춰 부산광역경제권의 유기적 연계가 가능토록 했다. 

순환도로 4축과 지하도로망 등으로 도심 교통체증을 완화해 접근성을 개선한다.

철도계획은 KTX 김해신공항 연계망 확보와 166㎞에 이르는 철도노선의 신설과 확장으로 부산권 물류네트워크 조성은 물론 관광객 증가 등의 수요를 고려한 선제적 계획을 수립했다.

이 밖에도 공원·녹지 계획으로 동천·부전천 생태복원, 금정근린공원 등 실현이 가능한 공원계획을 중심으로 바다·강·구릉지를 네트워크화 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이를 통해 2030년 1인당 공원·녹지 면적은 기정계획보다 4.9㎡ 증가한 21.4㎡로 계획해 선진도시 수준의 녹색공간구조를 실현에 목표로 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