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정운찬 대권은 ‘풍선효과’

'98년 조순’ ‘2002년 정몽준’ ‘2007년 고건’꼴

  •  

cnbnews 김원섭기자 |  2007.02.27 09:04:49

열린우리당과 탈당의원 ,민주당이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의 영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정운찬 약발’에 대해 반신반의하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98년 대선전 조순 전 서울시장’, ‘2002년 대선 종몽준’ ,‘2007년 고건’.

이들 3인은 그 시대에 유력 대선후보군으로 거론되었으나 대선전에 여론몰이를 틈타 풍선이 터질때까지 팽창했다가 바람이 빠지는 ‘풍선효과’를 맞았다.

특히 정 전 서울대총장의 최근 행보는 98년 대선전 정 전 총장의 스승인 조순 전 서울시장의 그림과 같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그 당시 조순 전 서울시장은 서울시장감과 경제부총리로 족하지 대통령감은 아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우리 나라의 행정수도이자 최대 인구의 집중지인 서울을 책임지는 서울시장이 대통령 권좌에 오르는 자리가 결코 아니라는 것이다.

정치권에서는 정 전 총장에 대해 아직 검증이 덜된 상태라는 것이다. 즉, 경제정책에서는 어느 정도 검증을 받았지만 정치적 검증에 이어 개인 사생활에 대한 검증의 관문이 남아 있다.

그래서 정 전 총장이 이 검증 문턱을 제대로 통과할 지에도 관심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

■정운찬‘불쏘시개’, 강금실‘치어리더’,손학규‘들러리’


김대중씨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서울시장에 오른 조순씨는 서울시장 재직시 대선후보로 여론에서 인기에 오르자, 김대중 국민회의 총재와 대립각을 세우면서 대권의 꿈을 꾸다가 경선에도 나가보지 못하고 정치권에서 사라지는 운명을 맞았다.

또 여권에서 가장 강력한 대선후보자였던 고건 전 총리도 지난 1월 대선앞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이에 따라 여권에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의 대권후보 옹립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지만 정 전 총장은 여론에서 실컷 가지고 놀다가 '팽'당하는 꼴로 전락할 수 도 있다고 조심스런 평이 나오고 있다.

즉, 지금 여권의 대선주자가 뚜렷하게 부각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범여권이 정 전 총장을 후보로 끌어들여 범여권의 강점인 ‘국민완전경선제’에서 팽 당하는 꼴이 될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금 친노그룹의 움직임도 주목해야 한다. 친노그룹에서는 정 전 총장에 대해 반신반의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국민완전경선제’에서 정 전 총장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조순 학습효과’ ‘고건 학습효과’에서 나타났듯이 아직도 대선에 영향력은 대통령의 손안에서 나오고 있다.


■‘3정시대’→‘3정문란시대’로

이와 관련, 98년 김대중씨한테 찍힌 조순 전 서울시장이 정계에서 사라지듯이 노 대통령도 열린우리당을 탈당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힘을 갖고 있다고 볼수 있다.

특히 노 대통령은 당적을 정리해도 정치에 관여할 뜻을 비추고 있는 가운데 그의 마지막 승부수인 ‘개헌’에 나설것이어서 정 전 총장이 ‘개헌’에 대한 반응 어떻게 보이느냐에 따라 노 대통령과 정 전 총장간의 입장 정리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공격적인 정치형태를 띤 노 대통령은 여권의 선두주자였던 고건 전 총리를 주저앉히기까지 했다.

정운찬 전 총장도 정치적 철학도 분명히 세우지 않은 채 불쏘시개 역할만 하다 제2의 고건이 될수도 있다.

손학규의 “들러리론”이나 정운찬의 “불쏘시개론”, 강금실의 “치어리더론” 모두 강령도 정책도 없이 이익만 추구하고 권력의 단맛만 쫓는 3류 정치의 현주소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주장이다.

또 정운찬·정세균·정동영의 ‘삼정시대’는 정치 세력이 강령·이념·정책도 없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 것은 사라지고 정권만 다시 잡겠다는 생각만 한다면 그건 정치적 문란행위이다. 삼정시대를 열기는커녕, 신삼정문란 시대를 열게 될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